미국 주식을 전망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지수를 확인해야 하는데, 그중 쉽게 확인해 볼 수 있는 지수가 VIX지수와 CNN공포지수입니다.
단기 주식의 흐름을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전문가들이나 언론이 참조하는 지수를 확인한다면 주식의 흐름을 예측하거나 뉴스를 이해하는데조금 더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VIX지수
미국 주식시장의 단기 변동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치를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시카고 옵션거래소(CBOE)에서 제공되고 정식 명칭은 CBOE Volatility Index입니다.
VIX는 향후 30일 동안의 S&P 500 지수의 변동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치를 지수로 표현한 것입니다.
향후 지수의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될 경우 옵션 가격이 높아지는 점에 착안하여 CBOE에 상장된 S&P500 지수 옵션들의 가격을 활용하여 산출됩니다.
VIX는 일반적으로 주가지수가 상승할 때 하락하고 주가지수가 하락할 때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VIX의 상승은 투자자들의 불안심리가 증대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공포지수라고도 부릅니다.
1993년 Robert E. Whaley 교수의 논문에서 처음 소개된 이후 시장의 변동성과 투자자들의 심리를 나타내는 주요한 지표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KOSPI 200 지수의 변동성 지수인 VKOSPI가 2009년 도입되었습니다.
2. VIX지수 보는 법 및 활용 방법
예를 들어, VIX지수가 30이면 30일을 기준으로 30%의 등락을 반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투자자들이 많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VIX지수가 30을 넘어가면 상당히 불안정한 상태이고 15 이하이면 매우 안정된 상태라고 판단합니다.
통상적으로 VIX지수는 20~25 정도에서 횡보합니다.
위와 같은 투자자들의 심리를 이용하여, VIX지수가 40 이상이면 투자자들이 불안한 마음에 과매도를 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역으로 저점 매수의 기회로 삼을 수 있습니다.
또한, VIX지수가 20 이하이면 상승하는 주가를 보고 투자자들이 과매도하는 것이므로 역으로 고점 매도의 기회로 삼을 수 있습니다.
다만, 위와 같은 방법은 저점 매수, 고점 매도를 위하여 VIX지수를 활용하는 하나의 방법일 뿐이고 VIX지수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기 때문에 VIX지수만을 절대적으로 신뢰하여 매도, 매수를 하여서는 안된다는 점을 주의하여야 합니다.
3. VIX 지수 보는 곳
VIX지수는 아래의 INVESTING.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kr.investing.com/indices/volatility-s-p-500
시카고옵션거래소 VIX 지수 (VIX) - Investing.com
시카고옵션거래소에 상장된 VIX지수에 대한 차트, 기술 분석, 기타 정보 등을 확인해보세요.
kr.investing.com
4. CNN공포 탐욕 지수
CNN은 VIX 지수와 별개의 "Fear and Greed Index" 지표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CNN공포 탐욕 지수는 0부터 100까지의 숫자로 표시되고 낮을수록 시장이 공포에 질려 있다는 의미이고 높을수록 탐욕에 빠져 있다는 뜻이다.
지수가 낮을수록 시장의 변동성이 크고 그로 인한 안전자산의 수요가 커지며, 지수가 높을수록 시장의 변동성이 낮고 그로 인한 안전자산의 수요가 줄어든다는 의미입니다.
CNN공포 탐욕지수는 50을 중립으로 하여 자동차 속도계와 같은 형태로 표시되기 때문에 VIX지수보다는 보기 편합니다.
CNN공포 탐욕 지수의 활용방법은 VIX지수와 같습니다.
5. CNN공포탐욕지수 보는 곳
CNN공포 탐욕 지수는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money.cnn.com/data/fear-and-greed/
Fear & Greed Index - Investor Sentiment - CNNMoney
Fear & Greed is CNNMoney's investor sentiment tool that comprises of 7 markets indicators.
money.cnn.com
○ 위 글이 도움이 되셨거나 수정 사항이 있으면 댓글을 통해 저에게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와 함께 이곳에 오신 모든 분들 다같이 성투하기를 바랍니다.
'돈 되는 이야기 > 주식으로 돈 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EBITDA의 개념, 단점, 활용법(증권사 리포트를 활용한 종목 분석을 위한 필수 개념) (0) | 2022.02.24 |
---|---|
증권사 리포트를 이용한 종목 분석을 위해서 주식초보가 반드시 알아야 할 PER, PBR 개념, 단점, 활용법 (0) | 2022.02.16 |